[인터풋볼] 홍명보호가 알제리에 패배를 당하며, 16강 진출 가능성이 멀어졌다. 잠사 숨겨졌던 약점들이 곪아 터졌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A대표팀은 23일 오전 4시(한국시간) 포르투 알레그리 에스타디우 베이라 히우에서 알제리와 2014 FIFA(국제축구연맹) 브라질 월드컵 H조 2차전에서 2-4로 패했다. 1무 1패를 기록한 한국은 벨기에와의 최종전 승리 후 알제리-러시아전 결과를 지켜봐야 16강 진출을 가늠할 수 있는 위기를 맞았다.
무엇보다 평가전부터 제기 됐던 홍명보호의 약점들이 다시 한 번 한꺼번에 터져 나왔다.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던 러시아전과 완전히 180도 다른 모습이었다.
초반 기싸움에서 완전히 밀렸다. 알제리는 정확한 패스와 기술을 바탕으로 공격전개를 펼치면서 적극적으로 나왔다. 한국이 그 동안 평가전에서 중원 장악 실패 시 겉잡을 수 없이 밀린다는 것을 간파했기 때문이다.
중원 사령관 페굴리는 볼 키핑과 개인기로 한국영과 기성용의 수비를 비웃듯 휘저었다. 이로 인해 알제리의 공격력은 살아났고, 여러 차례 골 찬스를 잡으며 한국의 골문을 흔들었다. 한국은 이를 잘 막아내려 했으나, 알제리는 허를 찌르는 플레이로 3골을 뽑아냈다.
전반 26분 슬리마니의 골 상황 시 후방에서 긴 패스로 김영권과 홍정호 사이로 떨어트리게 했고, 슬리마니는 두 선수와의 몸 싸움에서 이겨내며 선제골을 만들어 냈다. 한국의 중앙 수비수들의 빌드업으로 인한 뒷 공간 허용을 파고든 장면이었다.
그 동안 논란이 되었던 골키퍼 정성룡은 판단 실수까지 범했다. 전반 28분 정성룡은 코너킥을 걷어낼 때 펀칭으로 처리하려 했으나, 볼의 궤적을 읽는데 실패했다. 결국 할리시가 볼을 끊어내는 헤딩 슈팅으로 두 번째 실점을 허용하고 만 것이다.
그리고 리더가 없는 홍명보호의 약점이 더욱 심각했다. 전반 26분부터 37분까지 11분 동안 연달아 3실점을 했다. 확실한 리더가 있다면, 실점 후 빨리 분위기를 수습해 정상적인 경기를 할 것이다. 주장 구자철은 물론 베테랑인 박주영마저 리더로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아직 어리고 경험이 없는 한국 선수들은 정신력이 쉽게 무너졌다.
공격은 날카롭지 못해 무뎌졌다. 박주영은 러시아전과 마찬가지로 보이지 않았다. 위협적인 슈팅도 없었으며, 움직임도 상대 수비를 흔들기에는 부족했다. 이로 인해 2선에 있는 손흥민과 이청용은 동료들을 활용하는 플레이 보다 자신들의 개인기를 뚫을 수밖에 없었고, 알제리는 단순해진 한국의 공격을 쉽게 막을 수 있었다.
한국은 벨기에와의 최종전에서 모든 것을 걸어야 희망을 살릴 수 있다. 5일간 모든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 할 수 없으나 알제리전 패배의 충격의 패배에서 빨리 벗어나는 것이 관건이다.
한재현 기자
사진=스포탈코리아
